2024년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총 146개 기관 대상으로, 등급별 평가 결과와 후속조치까지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위 버튼을 통해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를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4년 공공기관 경영평가, 왜 중요한가요?
공공기관 경영평가는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의 운영 투명성과 성과 책임을 평가하는 제도입니다.
기획재정부 주관 하에 매년 실시되며, 성과급 지급 및 조직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46개 기관 대상, S등급 ‘0’… 무엇을 의미할까?
2024년 평가는 공기업 32개, 준정부기관 55개, 감사평가 기관 59개로 총 146개가 대상이었으며, ‘탁월(S)’ 등급을 받은 기관은 없었습니다.
이는 성과 개선의 여지가 크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등급별 기관 수 및 대표 기관
등급 | 기관 수 | 대표 기관 |
---|---|---|
우수(A) | 15 | 인천국제공항공사, 코트라, 한국남동발전 |
양호(B) | 약 50 | 미공개 |
보통(C) | 약 60 | LH 등 |
미흡(D) | 약 15 | 코바코, 공해광업공단 |
아주미흡(E) | 약 6 | 대한석탄공사 등 |
눈에 띄는 우수기관 성과 요인
인천국제공항공사: 코로나 이후 회복 대응, 서비스 품질 향상
한국남동발전·수력원자력: 탄소중립, 안전관리, ESG경영
코트라: 비대면 마케팅, 수출 지원, 디지털 전환
성과급 삭감 및 후속 조치, 어떻게 이뤄지나
성과급은 등급별 차등 지급되며, 미흡 이하 기관은 임원 성과급이 0~40%로 삭감됩니다.
특히 한전 및 발전 자회사 임원 성과급 50% 삭감은 재무 건전성 평가 강화의 상징적인 조치입니다.
실적부진기관의 공통 문제점
공통적으로 재무 악화, 조직 비효율, 사업성과 부진 등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특히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는 디지털 전환 미흡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공공기관 취업 준비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지표
주요 지표 | 우수기관 특징 | 부진기관 문제점 |
---|---|---|
재무건전성 | 수익성 개선, 부채 관리 | 적자 누적, 부채 증가 |
주요사업 성과 | 성과 창출, 고객만족도↑ | 목표 미달, 실효성 낮음 |
ESG 경영 | 탄소중립, 지역 상생 | 사회적 책임 부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