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아파트 재산세 납부 기간·계산법·절세 꿀팁 총정리

2025년 아파트 재산세, 7월과 9월 두 번 납부해야 하는 이유부터 계산법, 절세팁까지 전부 정리했습니다. 한눈에 보는 스마트한 재산세 가이드입니다.

재산세 바로 조회·납부하기

✅ 위 버튼을 통해 2025 재산세 조회 및 납부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재산세, 왜 이렇게 많이 나올까?

여름이 시작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고지서. 아파트 재산세입니다.
"왜 7월에도 내고 9월에도 또 내야 하죠?"
생각보다 크고 복잡한 금액에 당황하지 않도록, 정확히 이해하고 준비하는 게 중요합니다.

재산세란 무엇인가요? (기본 개념 정리)

재산세는 내가 소유한 '부동산'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도로, 도서관, 공원 같은 지역 기반시설을 위한 중요한 재원이죠.

아파트뿐만 아니라 토지, 건물, 선박, 항공기에도 부과됩니다.
즉, 내 자산이 위치한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사회적 집세’입니다.

가장 중요한 날, '6월 1일'의 마법

6월 1일은 ‘과세기준일’입니다.
이날 소유한 사람에게 해당 연도 전체 재산세가 부과됩니다.

5월 31일에 팔았다면 세금은 새 주인이 부담하지만,
6월 2일에 팔았다면 단 하루 차이로 그 해의 세금은 모두 내가 내야 합니다.

아파트 재산세, 어떻게 계산되나요?

1단계: 공시가격 확인
내 아파트의 기준 가격입니다.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에서 확인 가능

2단계: 과세표준 산정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2025년 일반 60%, 1세대 1주택 특례 최대 43%)

3단계: 세율 적용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 적용 (최대 0.4%)

공시가격 확인하러 가기

✅ 위택스에서 공시가격 기반 재산세 예상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과 세율, 얼마나 다를까요?

공시가격 (1세대 1주택) 공정시장가액비율 (2025)
3억 이하 43%
3억 ~ 6억 44%
6억 ~ 9억 45%

과세표준 표준 세율 1세대 1주택 특례 세율
6천만 원 이하 0.1% 0.05%
6천만 원 ~ 1.5억 원 0.15% 0.1%
1.5억 ~ 3억 원 0.25% 0.2%
3억 초과 0.4% 0.35%

도시지역분과 지방교육세, 추가 비용도 확인!

고지서에는 재산세 본세 외에 두 가지 추가 세금이 붙습니다.

  • 도시지역분: 과세표준의 0.14%
  • 지방교육세: 재산세액의 20%

총 납부액 = 본세 + 도시지역분 + 지방교육세임을 기억하세요.

7월과 9월, 납부 기간과 금액은?

왜 두 번 내나요?
고액 납부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는 1년 치를 반으로 나눠 2회 납부토록 합니다.

납부 시기 납부 내용
7월 (16일 ~ 31일) 주택분 1/2 + 건축물/선박/항공기
9월 (16일 ~ 30일) 주택분 1/2 + 토지분

단, 1년치 본세 20만 원 이하일 경우 7월에 전액 부과됩니다.

고지서 없이도 조회·납부 OK!

① 위택스 홈페이지
공동·금융·간편인증으로 로그인 → 납부 내역 바로 확인

② 스마트위택스 앱
모바일에서도 전자고지, 납부까지 가능

③ 은행 앱 이용
'공과금 > 지방세' → 주민번호로 조회 → 간편 납부

위택스 바로가기

✅ 고지서 없이 재산세를 편리하게 확인·납부할 수 있습니다.

절세 꿀팁, 알고 있으면 돈이 됩니다

  • 매도자: 잔금을 5월 31일 이전으로 설정
  • 매수자: 잔금을 6월 2일 이후로 설정

이틀 차이로 수십만 원을 아낄 수 있습니다.

납기일 놓치면? 가산세 주의!

  • 3% 가산세: 하루만 넘겨도 부과
  • 중가산금: 45만 원 이상 체납 시 매월 0.66% 추가

납기일 알람 설정은 필수입니다.

공동명의, 재산세보다 종부세 절세에 유리

부부 공동명의는 종부세 부담을 줄이는 데 유리합니다.
단, 재산세 자체엔 큰 영향이 없고, 장기보유 공제 등은 단독명의만 가능하므로
꼼꼼한 비교 후 결정해야 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