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시 지방소득세 납부 총정리 (강북·성북·성동구 주민 필독)

2025년 서울시 지방소득세 신고와 납부, 아직도 헷갈리시나요? 강북구·성북구·성동구 중심으로 구청별 절차부터 ETAX 활용법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

서울시 지방세 납부하러 가기

✅ 위 버튼을 통해 지방소득세 신고 및 납부를 빠르게 완료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 지방소득세, 왜 따로 내야 하나요?

종합소득세 신고가 끝났다고 세금이 모두 끝난 것은 아닙니다.
서울시민이라면 '지방소득세'도 따로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지방소득세는 내가 거주하거나 사업을 운영하는 자치구에 직접 납부하는 세금으로, 그 지역의 도로, 복지, 문화예산 등 실생활과 밀접한 사업에 사용됩니다.

특히 강북구, 성북구, 성동구처럼 각기 다른 자치구마다 납부 절차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이해하고 납부해야 가산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 자치구별 납부 절차 확인하기

✅ 위 버튼을 통해 각 구청별 지방세 신고방법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방소득세는 어떤 세금인가요?

우리가 내는 세금은 크게 '국세'와 '지방세'로 나뉘며, 지방소득세는 2020년부터 독립세로 전환되어 별도로 납부해야 합니다.

즉, 종합소득세는 홈택스에, 지방소득세는 위택스 또는 ETAX에 각각 신고·납부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주소지와 사업장 소재지에 따라 납부 지역이 달라지므로 꼭 확인이 필요합니다.

지방소득세 납부기한 총정리

구분 납세의무자 기한
종합소득분 프리랜서, 자영업자 등 5월 1일 ~ 5월 31일
양도소득분 부동산·주식 양도자 국세 신고기한 + 2개월
법인세 법인사업자 사업연도 종료 후 4개월
특별징수분 근로자에게 급여지급하는 회사 급여 지급 다음 달 10일까지

온라인 신고와 납부는 이렇게!

이제는 구청에 갈 필요 없이 PC나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신고·납부가 가능합니다.

① 홈택스 → 위택스로 연계 신고
② 서울시 ETAX 또는 위택스에서 납부
③ 모바일은 STAX 앱 활용

온라인으로 신고·납부하기

✅ 서울시 ETAX 접속 후 지방세 내역을 바로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습니다.

각 구청 세무팀 연락처 총정리

자치구 담당 부서 연락처
강북구 세무2과 지방소득세팀 02-901-2465
성북구 세무2과 지방소득세팀 02-2241-4150, 4190
성동구 세무2과 지방소득세팀 02-2286-5282~5
동대문구 세무2과 지방소득세팀 02-2127-4182~5
용산구 세무2과 지방소득세팀 02-2199-6931~4

가산세, 꼭 피해야 할 핵심 포인트

지방소득세 신고·납부를 늦추면 최대 40%의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① 무신고: 일반 20%, 부정행위 40%
② 과소신고: 일반 10%, 부정행위 40%
③ 납부지연: 일수 × 0.022%

가산세는 구제받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기한 내 신고하세요!

자주 묻는 지방소득세 FAQ

Q. 주소지와 사업장이 다르면 어디로 납부하나요?
개인의 경우 주소지 기준, 법인은 사업장 기준으로 각각 납부합니다.

Q. ETAX 카드 수수료 있나요?
서울시가 부담하기 때문에 납세자에게는 없습니다. 단, 카드 할부 수수료는 카드사 정책에 따라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종합소득세는 환급됐는데, 지방소득세는 왜 안 되나요?
지방세는 위택스에서 별도로 환급 신청해야 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