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월급이 줄어든 이유가 궁금하셨나요? 국민연금 보험료는 그대로인데, 왜 통장에 찍힌 금액은 달라졌는지 정확한 원인과 영향, 대처법까지 완벽히 정리해드립니다.
내 연금 변화 확인하기✅ 위 버튼을 통해 국민연금 변경사항과 수령액 예측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7월 국민연금 인상, 진짜 인상일까?
월급 명세서를 보고 "어? 줄었네?" 하고 놀란 분들 많으시죠?
이번 7월의 변화는 ‘보험료율 인상’이 아니라 매년 시행되는 ‘기준소득월액 조정’입니다.
보험료율은 여전히 9%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한액은 617만 원 → 637만 원, 하한액은 39만 원 → 40만 원으로 변경된 것이 전부입니다.
기준소득월액 조정이란?
국민연금 보험료는 실제 월급이 아닌, 기준소득월액을 기반으로 산정됩니다.
이 기준은 매년 7월, 전국 가입자의 평균소득 변화에 따라 자동 조정되며,
2025년엔 아래와 같이 조정되었습니다.
구분 | 변경 전 | 변경 후 | 변화폭 |
---|---|---|---|
상한액 | 617만 원 | 637만 원 | +20만 원 |
하한액 | 39만 원 | 40만 원 | +1만 원 |
✅ 국민연금 상·하한액 적용 여부를 직접 확인해보세요.
누가 얼마나 더 내게 되나요?
당신이 속한 소득 구간에 따라 보험료 변동 여부가 다릅니다.
아래 시나리오로 확인해보세요.
1. 고소득자 (637만 원 이상)
기존 상한액 617만 원 기준 → 최대 18,000원 인상
직장인: 본인 부담 9,000원
자영업자: 전액 18,000원 부담
2. 저소득자 (40만 원 미만)
하한액 1만 원 인상으로 최대 900원 증가
사회안전망 편입을 위한 최소 납부액 보장 취지입니다.
3. 대다수 중간 소득자 (40만~617만 원)
기준소득월액 범위 내라면 보험료 변동 없음
“국민연금 또 올랐다”는 말은 이 구간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소득별 보험료 변화 요약
소득 구간 | 보험료 변화 | 직장가입자 본인 부담 | 지역가입자 전액 부담 |
---|---|---|---|
637만 원 이상 | 18,000원 인상 | 9,000원 | 18,000원 |
617만 원 초과 ~ 637만 원 미만 | 비례 인상 | 최대 9,000원 | 최대 18,000원 |
40만 원 이상 ~ 617만 원 이하 | 변동 없음 | 0원 | 0원 |
40만 원 미만 | 최대 900원 | 최대 450원 | 최대 900원 |
✅ 내 소득 구간에 따라 얼마나 오르는지 직접 비교해보세요.
이번 인상, 진짜 손해일까요?
직장인은 추가 보험료의 절반을 회사가 부담해줍니다.
즉, 월 9,000원 더 내고 18,000원짜리 연금 상품에 가입한 셈이죠.
또한 국민연금은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연금액을 매년 자동 인상합니다.
이는 물가를 이기는 유일한 연금 시스템이기도 합니다.
지역가입자를 위한 부담 완화 팁
- 소득 급감 시 ‘납부예외 신청’ 가능
- 소득 낮으면 ‘기준소득월액 변경’ 신청
- 정부 보험료 지원제도 활용 가능 (농어업인, 예술인 등 대상)
힘든 시기일수록 제도를 적극 활용하세요.
지금 꼭 해야 할 3가지 실천
1️⃣ ‘내 연금 알아보기’ 서비스로 미래 수령액 예측
2️⃣ IRP·개인연금과 연계하여 절세 플랜 세우기
3️⃣ ‘가입기간’ 늘릴 방법 (추납, 크레딧 등) 찾아보기
지금의 작은 준비가 노후의 차이를 만듭니다.